반응형
65세 이상 고용보험 혜택/ 환급 조건/비자발적 퇴직 확인(자발적 퇴직만 받을 수 있어요.)
꼭 확인하셔서 혜택 받아가시길 바랍니다.
1. 65세 이상 고용보험 혜택
2. 65세 이상 고용보험 받기 위한 혜택
3. 비자발적 퇴직 의미
4. 비자발적 퇴직 여부 확인하기
1. 65세 이상 고용보험 혜택
- 실업급여 수급 가능성:
- 65세 이전부터 동일 사업장에서 계속 근무한 경우, 65세 이후 퇴직 시에도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습니다.
- 단, 비자발적 퇴직이어야 하며 재취업을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해야 합니다.
- 단, 근로관계가 단절 없이 유지되어야 합니다
- 고용보험료 납부:
- 65세 이전부터 계속 근무한 근로자는 모든 고용보험료 항목을 납부합니다.
- 65세 이후 새로 채용된 근로자는 실업급여 관련 보험료는 제외되고, 고용안정과 직업능력개발비만 납부합니다.
2. 65세 이상 고용보험 혜택을 받기 위해 필요한 주요 조건
- 65세 이전부터 동일 사업장에서 계속 근무
- 65세 이전부터 같은 직장에서 일하다가 65세 이후에 퇴직해야 합니다.
- 비자발적 퇴직
- 본인 의사가 아닌 회사 사정 등으로 인한 퇴직이어야 합니다.
- 피보험 기간 충족
- 실직 전 18개월 동안 고용보험에 180일(약 6개월) 이상 가입되어 있어야 합니다.
- 재취업 의지
- 근로 능력과 의사가 있어야 하며, 적극적으로 재취업을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.
- 고용보험 가입 유지
- 65세 이후에도 고용보험료를 계속 납부해야 합니다.
주의사항: 65세 이후에 새로 취업한 경우에는 실업급여 대상에서 제외됩니다.
이러한 조건들을 모두 충족하면 65세 이상이어도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습니다.
3. 비자발적 퇴직의 의미
비자발적 퇴직은 근로자의 의사와 무관하게, 예상하지 못한 시점에 갑작스럽게 퇴직을 강제당하는 것을 의미합니다.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:
- 본인의 의지와 무관: 근로자 자신의 결정이 아닌 외부 요인에 의해 퇴직함.
- 예측 불가능: 갑작스럽게 퇴직 통보를 받아 준비할 시간이 없음.
- 강제성: 회사나 외부 요인에 의해 강제로 퇴직해야 하는 상황.
4. 비자발적 퇴직의 주요 유형 확인
- 해고: 회사가 근로자와의 근로계약을 해지하는 경우.
- 권고사직: 회사의 요청으로 사직하는 경우로, 해고 직전에 기회를 주는 형태.
- 계약만료: 계약직 근로자의 계약기간이 끝나는 경우.
- 정리해고: 회사의 경영상 이유로 인한 대규모 인원 감축.
반응형